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만성질환건강운동자료'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건강운동자료15

관상질환발병원인이란? 관상 질환 위험요인 위험요인 정의 연령 가족력 최근의흡연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생활습관 (좌식생활) * 남자 : 45세 이상 여자 : 55세 이상인 경우 또는 에스트로겐 보충 치료를 하지 않은 조기폐경 여성 * 아버지나 부계에서 55세 이전 또는 어머니나 모계에서 65세 이전에 심근경색 혹은 돌연 사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 2회 이상의 혈압 측정 시 140/90mmHg 이상 또는 항고혈압 성 약제를 복용 중인 경우 * 혈청 총콜레스테롤이 200mg/이(5.2 mmd/L) 이상인 경우 HDL 콜레스테롤이 35mg/이(0.9 mmd/L) 이하인 경우 30세 이후의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IDDM) 환자 15년 이상 지속된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35세 이상의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NIDDM) 환자 * 낮 .. 2021. 5. 3.
관상동맥질환과 심부전 질환 협심증: 혈전이 관상동맥을 막은 상태 심근경색: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인하여 심장근육이 괴사하는 질환 심부전: 심장이 혈류를 적절히 순환시키지 못하는 질환 심부전 심근에서 발하는 질환 •허혈성 심장병 •심근염(Myocarditis) •심근증(cardiomyopathies) 심근 부전을 2차적으로 일으키는 다른 심장병 •조절 기전의 손상(비효율적 펌프작용) •혈액 배분의 결손 전신성 고혈압 만성 폐 질환 심박동 수 증가: 수축기에 완전한 혈액 방출을 할 수 있는 시간 부족 확장: 이완 기말 심실 용적은 심근 수축력을 크게 한다. 비대: 심근의 용적이 증가하면 작업 수행능력이 커진다. 우심실 비대 만성 폐 질환에 의한 폐동맥 고혈압 시 폐동맥 고혈압을 일으키는 승모판 질환 시 좌심실 비대 고혈압 시 대동맥판막.. 2021. 4. 20.
폐질환에 의한 호흡곤란이란? 폐질환에 의한 호흡곤란이란? 원인 1) 폐질환에 의한 호흡곤란 만성 폐쇄성 폐질환 (기관지 천식,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 공업화 및 대기오염의 증가에 따라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 흡연과 밀접한 관계(55∼64세 남자 흡연자의 10∼15%에서 발생) 폐침 윤성 폐질환:결핵이나 세균에 의한 감염, 분진에 의한 직업성 폐질환, 종양, 폐혈관 색전증 등과 같이 폐실질이나 폐혈관의 질병에 의하여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경우 심장질환에 의한 호흡곤란 폐정 맥압의 상승에 의하여 호흡곤란이 유발 운동 시의 호흡곤란, 기좌 호흡,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 급성 폐수종 등의 형태를 취한다. 심장질환의 원인 : 심부전, 선천성 심장질환, 판막성 및 고혈압성 심장질환 등 ​ 비만, 신경증 등에 의한 호흡곤란 청진 소견, 흉부.. 2021. 2. 7.
비만 아동의 심각성 비만아동의 심각성 (1) 성인비만으로 될 가능성이 높다. 비만아동의 특징은 지방세포의 크기와 수가 증가하므로 성인이 되어서도 비만이 될 가능성이 정상인보다 75~80% 이상으로 높다. (2) 비만으로 인한 질병에 걸리기 쉽다. 피로가 쉽게 오고 심장장애로 호흡도 곤란해지며 암, 담석증, 지방간,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과 동맥경화증, 기타 성인병과 같은 합병증을 발생시킨다. (3)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비만아동의 경우 대체적으로 난관에 부딪히거나 욕구가 발생했을 때 추상적 사고나 상상력 등을 동원하여 문제를 해결 하기보다는 즉각적인 섭식 행위를 통해 갈등을 해소해 나가는 경향이 있다. 과도한 자기애 및 사회적 불안, 충동조절의 어려움, 행동의 미성숙성 그리고 우울감을 나타내기도 .. 202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