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내분비계이란?
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건강정보

내분비계이란?

by 만돌이님 2021. 2. 10.
반응형

 

기능: 호르몬을 통해서 세포의 기질 대사를 변동,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을 변경시킴으로써 신체의 기능을 조절하며

성장, 분비,생식 등 세 포기 전의 조절에도 관여.

내분비 기관: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부신, 송과선, 흉선

기타 호르몬 분비기관: 췌장, 생식선, 시상하부, 소장 벽, 위벽, 신장, 심장

 

 

호르몬

특정한 내분비선에서 생성, 저장 관류하는 혈액 중으로 분비 체내의 표적기관에 이르러 그곳에서 특정한

기능을 발휘하는 물질

국소 호르몬:어는 세포에서 세포외액 중으로 분비된 후 다른 세포의 기능을 변동시키는 물질

아세틸콜린, 아드레날린, 콜레시스토키닌

n일반 호르몬:특정 내분비선에서 분비

 

모든 세포에서 기능을 발휘하는 호르몬과 특정한 조직세포에 가서만 작용하는 호르몬(표적세포)

호르몬의 화학적 구조에 따른 구분

 

Steroid Hormone

콜레스테롤 또는 아세트산이 재료 뇌하수체의 부신피질 호르몬, 갑상선 자극 호르몬, 성선 자극 호르몬 또는

안지오텐신의 작용으로 프로게스테론으로 전환되어 해당

 

호르몬 생성

분비 자극을 받은 이후에 생성되어 방출  Polypeptide Hormone 아미노산이나 당단백으로 된 단백 호르몬

조면소포체의 리보좀에서 프로 호르몬 형태로 생성 골 기체로 이동되어 호르몬이 되고, 과립 형태로 저장

분비신호를 받으면 세포막으로 이동되어 분비

 

운동에 따른 내분비계의 변화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효과

조절

부족/과다

운동효과

성장호르몬

(GH)

•조직 성장 자극

•지방산 동원

CHO 대사 억제

시상하부 방출 요인

부족-단소증

과다-거인증

운동과 함께 증가

티로 트로핀

(TSH)

갑상선으로부터 티록신 생성과 방출 억제

시상하부 TSH 방출 요인

부족-크레틴병,

성인 점액 수종

과다-그레이브스병,

심장병

운동과 함께 증가

코티코

트로핀

(ACTH)

•코티졸;알도스테론;다른 부신호르몬

시상하부 TSH 방출 요인;코티졸

•부족-거의 볼 수 없음

과다-쿠싱병

unknown

 

운동에 따른 내분비계의 변화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효과

조절

부족/과다

운동효과

성선 자극

호르몬

(FSH, LH)

FSH가 에스트로겐 생성 자극

LH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생선 자극

남자의 고환으로부터 테스토스테론 생성 자극

시상하부 FSH, LH방출

성호르몬 자극

•부족-성적 성숙 실패

과다-없음

변화 없음

프로락틴

(PRL)

테스토스테론 억제

지방산 동원

•유선 자극으로

시상하부 PRL 억제

부족-수유부 젖 생성 부족

과다-유류증, 월경 중지, 발기 부족

운동과 함께 증가

엔도르핀

(Endorphins)

•고통 차단

다행증 촉진

영양과 월경주기 영향

시상하부 TSH 방출

코티졸

unknown

 

운동에 따른 내분비계의 변화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효과

조절

부족/과다

운동효과

바소프레신

(ADH)

신장에 의한 수분조절

•혈관 수축에

시상하부 분비 신경

부족-당뇨병

과다-Unknown

운동과 함께 증가

옥시토신

(Oxytocin)

자궁 근육 수축 조절

유선 분비 조절

시상하부 분비 신경

Unknown

Unknown

 

운동에 따른 내분비계의 변화

부신피질

호르몬

효과

조절

부족/과다

운동효과

코티졸

코르티코

스테론

•지방산 이용, 단백질

•혈당, 인슐린

에피네프린과 함께 항염증 효과

ACTH

스트레스

부족-애디슨병

과다-쿠싱병

격렬한 운동 시 증가

알도스테론

신장에서 나트륨, 칼륨, 수분 보유 촉진

안지오텐신과 혈장 칼륨 농도

레닌

부족-애디슨병

과다-알도스테론증

운동과 함께 증가

 

부신피질 호르몬: 염류 코르티코이드, 당류 코르티코이드, 성호르몬

운동에 따른 내분비계의 변화

부신 수질

 

호르몬

효과

조절

부족/과다

운동효과

에피네프린

노에피네프린

교감신경 활동 촉진

심박출량 증가

•혈관 조절

•글르코겐동원, 지방산

시상하부의 교감신경을 자극하는 스트레스

•부족-의미 없음

•과다-고혈압, 대사작용

E-격렬한 운동 시 증가

N-운동과 함께 증가

 

에피네프린: 혈류량 조절, 심장 수축과 심박수, 산소소비량 조절

노에피네프린: 혈관 수축 조절

 

운동에 따른 내분비계의 변화

갑상선

호르몬

효과

조절

부족/과다

운동효과

티록신

(Thyroid)

트리오도

티로닌

(T3)

대사율 자극

세포 성장과 세포 활동 조절

TSH

모든 신체 대사

부족-BMR 감소, 체온 감소, 식욕감소, 체중 증가, 카테콜아민 증가, 단백질 합성 감소, 저혈압

과다-BMR 증가, 체온상승, 열저항 감소, 체중감소, 고혈압, 근육 상실, 난소 기능 감소

운동과 함께 증가

칼시토닌

혈중 칼슘 이온 농도 조절

•부족-뼈 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