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의 운동요법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서 운동요법은 약물요법이나 식사요법보다 효과가 크며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운동은
당뇨병을 극복하는 데에 기본이 된다.
그러면 당뇨병 환자는 어떻게 운동을 해야 혈당 관리에 더욱 유익한가?
일반적으로 근력 운동보다는 유산소 운동이 바람직하다.
근력 운동이라 함은 역기 들기 등 근육의 발달에 큰 영향을 주는 운동이며 유산소 운동은 체내에 산소의 공급량을
늘려 주는 운동으로서 빨리 걷기 줄넘기 등 과격하지 않으면서 땀을 흘릴 수 있는 운동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근력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2 : 8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량은 보통 자신의 폐활량의 60-70%(분당 맥박수 110-130회 정도)가 적당하며, 식후 30분에서
1시간 후 30-40분, 주 5회 이상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당뇨 환자에게 있어서 운동의 효과
① 당대사가 활발해져서 근육의 당 이용량이 증가하여 혈당을 떨어뜨린다.
② 유리지방산의 이용이 증가하여 고지혈증을 감소시키며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을 감소시킨다.
③ 표준체중의 유지에 도움을 주며, 체중 감소가 없더라도 지방질을 감소시키고 근육량을 증가시켜 체질개선과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된다.
④ 건강 증진과 상쾌함, 스트레스 해소, 인슐린 요구량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등 당뇨인의 혈당 관리에 기본이 되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운동할 때의 주의 사항은 고혈압과 간장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운동이 역효과가 나타나는 수가 있으므로
운동을 하기전에 혈압, 심전도, 요당검사, 혈액검사 등을 정기적으로 받아야 하며 급격한 운동은 역으로
혈당을 상승시키고 장시간의 운동에는 반대로 저 혈당이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간식을 충분히 준비할 필요가 있다.
혈당이 300㎎/㎗이상이거나 합병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는 운동을 금하는 것이 좋다.
운동 중 가장 손쉽고 가장 효과적인 것은 걷기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어슬렁거리며 걷는 것은 효과가 없으며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경쾌하게 걷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 자기 발에만 의존하여 이동하던 시대에는 하루 1만-3만 보 정도 걸었다 한다.
그러나 현대인의 경우는 하루 3천보도 채 못 걷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1만보로서 소비되는 열량은 200-300 Cal이며, 당뇨병 환자는 1일 1만 부를 목표로 하여 규칙적으로
걷는 것이 좋다.
<운동별 열량(Cal) 소비량>
운 동 |
40대 60㎏(남) 150-200Cal |
40-50대(여) 150-200 Cal |
산 보 |
약 50-60분 |
약 60-70분 |
제 자 리 뛰 기 |
약 15-25분 |
약 20-30분 |
줄 넘 기 |
약 30-40분 |
약 35-45분 |
보 행 |
약 45-60분 |
약 50-70분 |
수 영 |
약 15-30분 |
약 20-35분 |
TV 체 조 |
약 35-50분 |
약 40-55분 |
죠 - 깅 |
약 20-25분 |
약 20-30분 |
계 단(내 림) |
약 40-55분 |
약 45-60분 |
계 단(오 름) |
약 20-25분 |
약 20-30분 |
앞의 표는 150-200 Cal를 소비하는 운동과 시간을 정리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운동을 시작하면서 처음에 피곤하여 숨쉬기가 곤란함을 느끼는 경우에는 더 가벼운 운동부터 시작해서 서서히 운동량과 강도를 높여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만성질환건강운동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흡기의 구조와 기능의 대해서 (0) | 2021.01.30 |
---|---|
신장의 기능이란? (0) | 2021.01.26 |
당뇨병환자의 운동방법 프로그램 (0) | 2021.01.18 |
혈압이 갑자기 치솟는 이유 (0) | 2021.01.12 |
당뇨병 환자 운동프로그램이란 (0) | 2020.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