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랄이란 무기질 영양물질인 광물질을 말한다.
건강에는 미네랄이 풍부한 식품이 중요하다고 해도 눈으로 식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맛에 있어서도 미네랄이
다소 부족하다고 해서 알 수가 없다.
다만 오랜 기간에 걸쳐 미네랄이 부족한 식품을 먹었을 때 건강이 나빠지고 병이 생긴다는 것이 의학상의
상식이 되고 있다.
오늘날 자연의 질서와 멀어져가는 우리의 식생활에서 오는 영양의 불균형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화학농법으로 말미암아 토양의 미네랄 사이클의 붕괴가 심각하다.
토양의 미네랄 싸이클은 퇴비나 가축의 분뇨 등 유기질 비료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이다.
이처럼 미네랄 싸이클이 차단된 토양에서 생산된 농산물에는 미네랄이 결핍되어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농산물을 먹을 수밖에 없는 현대인의 몸의 미네랄 사이클 역시 붕괴될 수밖에 없다.
날로 격증에 가고 있는 성인병과 현대인의 반 건강(半建康)상태의 가장 큰 원인이 바로 이 미네랄의 결핍인 것이다.
미네랄 인체에 미치는 영향
인체 구성에 있어서 불과 3.5%밖에 되지 않는 이 미네랄이 생명현상에 작용하는 역할은 헤아릴 수 없이 크다는 것이
최근에 많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미네랄은 대별해서 다량(多量) 원소와 미량(微量) 원소로 나눌 수 있다.
다량원소는 칼슘, 인, 칼륨, 유황, 나트륨, 염소, 마그네슘 등이며, 이들 원소는 인체 구성의 약 3%를 차지한다.
그러나 미량원소는 인체구성의 불과 0.5%밖에 안된다.
철, 망간, 동, 요오드, 아연, 몰리브덴, 불소, 크롬, 비소 등이다.
이들 미네랄은 인체내의 아주 적은 양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미량원소"라고 부르는 것이다.
무기질의 축적은 각종질병의 원인
무기질의 축척은 각종 질병의 원인
인체가 활용하거나 배설할 수 없는 것은 축척된다.
따라서 체내에서 소화, 흡수되지 않는 무기질은 축척되어, 때가 되면 동맥경화, 신장결석, 관절염, 청각상실 등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강학자들인 브래그, 워커, 배닉 박사 등은 미네랄은 반드시 음식에서 흡수해야지 만약
물속에 있는 무기미네랄을 흡수할 경우에는 우리 몸속의 중추기관을 헤치고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경고하고 있다
인체가 효율적으로 소화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 채 섭취하고 있는 각종 무기성 미네랄
(칼슘, 마그네슘, 철, 구리, 실리콘)은 관절 사이에 축척되면 관절염을 유발하며, 창자 벽에 남아있으면 변비를 일으키게
하고, 동맥의 혈관벽을 덮으면 동맥경화를 야기시키는 것이다.
또 심장의 판막이 무기미네랄 축척 물로 굳어지면 심장수술이 필요하게 되고 신장과 간에 무기미네랄 축척 물이
너무 많아지면 송수관을 막을 정도의 작은 돌처럼 되어 신장의 여과기가 무기물질로 막히게 되면 신장이식 수술을
해야 하게 되며, 축척 물이 청각신경을 차단한다면 그때는 전체적인 청각상실을 가져오게 된다.
인체의 구성요소
인체의 3대 구성요소 : 근육, 지방, 뼈(성별 표준형을 기준으로 비교)
총지방량 : 필수 지방 + 저장 지방
필수 지방 : 생리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는데 요구되는 지방(체중의 3%)
저장 지방 : 피하나 복강 내에 지방조직에 분포되어 있으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장기관을 보호하고 에너지원의 저장고
(남자 12%, 여자 15%)
제지방 체중 : 지방을 제외한 수분, 단백질, 무기질, 기타 화학물질의 중량을 합친 것
LBM : 중추신경계, 골수, 내장기관에 있는 필수 지방량을 포함한 개념의 제지방 체중
FFM : 모든 지방을 제거한 개념
➜ FFM은 시체해부를 통해서만 정량이 가능하므로 생체측정에서는 일반적으로 LBM 사용
미네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일상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식주의자들 건강상태의 대해서 (0) | 2021.02.07 |
---|---|
비타민의 정의와 역사란? A B C D E (0) | 2021.02.07 |
한국형 당뇨병이란? Diabetes Mellitus (0) | 2021.02.07 |
탄수화물이란 무엇일까? (0) | 2021.02.07 |
심전도 검사방법이란? (0) | 2021.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