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체 둘레 측정
복부 종아리 전완 대퇴 힙 팔 허리 |
배꼽 수준에서 잰다. 무릎과 발목 사이의 최대 둘레 팔을 밑으로, 몸에서 떨어뜨리고 최대 둘레를 잰다 대퇴에 약간의 힘을 준 뒤, 엉덩이주름 아래의 최대 둘레를 잰다 둔주름에서의 최대 둘레를 잰다. 견봉과 팔꿈치 머리의 중앙 부위를 잰다. 동체의 가장 가는 부위 |
절 차 | |
⊙ 신체의 우측을 측정한다. ⊙ 몸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서 있어야 한다. ⊙ 접히는 피부가 없이 적정한 긴장을 주어서 줄을 감아야 한다. ⊙ 각 부위는 두번을 측정하고 7mm, 0.25inch 이상 차이가 있어서는 안된다. |
피하지방 측정법
가슴(chest) 복부(abdomen) 삼두박근(triceps) . 상장골(suprailliac) 대퇴(thigh) |
남자는 유두와 겨드랑이 주름 사이의 중간 지점을, 여자는 유두로부터 2/3 지점을 대각으로 잡는다. 배꼽의 오른쪽 2cm 지점을 수직으로 잡는다. 팔꿈치를 펴고 ,이완된 상태에서 견봉과 주두돌기 사이의 중앙지점을 수직으로 잡는다. 겨드랑이선과 장골능의 연장선 위를 대각으로 잡는다. 고관절과 슬관절 사이에서 대퇴 중앙의 전면 부위를 수직으로 잡는다. |
피하지방 측정 절차(ACSM, 2000)
1. 모든 측정은 신체의 우측에서 한다.
2. 캘리퍼는 엄지와 다른 손가락에서 1cm 떨어져 위치시킨다.
3. 캘리퍼를 읽는 동안 바늘은 고정되어야 한다.
4. 캘리퍼를 읽기 전에 1∼2초(그 이상) 유지해야 한다.
5. 한부위를 두번 측정해야 하고 만약 1∼2mm 이상 차이가 난다면 다시 측정해야 한다.
신체밀도(body density)
Pollock의 공식이용.
남 : 1.10938 - 0.0008267(x) + 0.0000016(x)2 - 0.0002574(y)
여 : 1.0994921 - 0.0009929(x) + 0.0000023(x)2 - 0.0001392(y)
x = 측정한 세 부위 피지후의 합.
(남 : 가슴,복부,대퇴)
(여 : 삼두근,상장골,대퇴)
y = 연령.
* 체지방:Siri 공식이용
% fat =(4.95 / 신체밀도 -4.5) 100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생활운동건강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만과 체중조절방법이란? (0) | 2021.06.08 |
---|---|
신체 에너지 합성경로 단계 (0) | 2021.06.08 |
높은 고도에서 느끼는 호흡곤란과 어지럼증 고산병원인이란? (0) | 2021.05.07 |
유연성 테스트방법이란? (0) | 2021.05.03 |
뇌의 신경가소성 원리 및 뇌발달 좋아지는 방법 (0) | 2021.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