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스팩트럼 장애) 신경계의 결함 뇌졸중의 합병증
대인관계 형성을 하지 못한다.
뇌압상승,가래가 고여 생기는 폐렴,욕창,관절굳음,소변 염증 영양상태 불량언어 습득이 지연 갑작스런 스트레스로 인한
위장 출혈 언어 발달상 대화할 수 없는 언어들 만성 후유증,반향어 반신마비,보행 장애,언어 장애, 치매, 기억력 장애
대소변 못가림,우울증
자폐성 장애
최신 이론을 보면 “자폐증”을 특정한 정신적인 질환으로 간주하기보다는 발달적인 장애
즉 아동이 정상적인 발달 속도를 따르지 못하거나 어느 특정 기능들의 발달이 증단되어서 나타나는 증후군
미국 주립 자폐아 협회(nsac)의 정의
전형적으로 출생후 30개월 이전에 나타남. 발달 속도나 순서에서 장애가 있음
감각 자극에 대한 장애. 언어.인지에서의 장애. 사람,사건,사물에 반응하는 능력에서의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증상적 특성이나 기능 수준이 전적으로 같은 아동들이 거의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개개인이 독특성을 갖는다.
아동을 위한 치료 및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커리큘럼을 일괄적으로설정해서는 안됨.
아동의 특성 기능 수준,인식 능력에 가장 적합합 치료 교육 프로그램과커리큘럼(IEP)을 개별적으로 만들어야한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들 사이에는 내용이전적으로 일치된 IEP가 존재해서는 안된다는 말.
특징
활처럼 뒤쪽으로 휘는 것과 안아줄 것을 기대하지 않는다.아주 수동적이거나 지나치게 흥분된 아이동일성에 대한 고집
또는 고집스러운 행동. 사회적 무관심, 사회적 어색함.
사회적 대인관계의 손상
혼자 떨어져 있거나 무관심. 수동적으로 사회적 접척 사회적 접촉이 일방적으로 한 사람에게 치우치며 이상한 곳에 빠져
들고 그밖에 이상한 곳에 관심.
사회 접촉을 하더라도 사회 행동의 규율과 규범 이해가 부족.
발생빈도
자폐증은 신생아 일만명 당 4.5명 정도. 정확한 진단을 내리지 못하는 자폐행동을 보이는 아동이 일만명 당 15명
내지 20명으로 통계적으로 집계. 남아가 여아에 비해 3배 정도 발생률.
유아기 떄부터 인지,언어 사회의 측면에서 조금씩 발견되기 시작.
자폐증의 초기 발현은 출생 후 30개월 전후3세 전후의 시기. 신체 행동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
일반 아동에 비해 기계적인 암기력이 높다.
자폐증 진단 기준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의 질적인 장애가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2개 항목으로 표현
1)사회적 상호 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눈 마주치기,얼굴 표정 몸 자세, 몸짓과 같은 다양한 비 언어적 행동을
사용 함에 있어서 현저한 장애.
2)발달 수준에 적합한 친구 관계 발달의 실패
3)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기쁨관심,성공을 나누지 못한다.
4) 사회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서로 반응을 주고 받는 상호 교류의 결여
'일상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용성비타민과 지용성비타민이란? (0) | 2021.02.08 |
---|---|
호르몬 테스토스테론치가 낮아지면 내장지방 비만으로 된다. (0) | 2021.02.08 |
정신지체의 원인이란? (0) | 2021.02.07 |
청각장애와 시각장애의 원인 (0) | 2021.02.07 |
채식주의자들 건강상태의 대해서 (0) | 2021.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