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재활의 개념과 재활운동 정의
본문 바로가기
운동재활건강처방자료

재활의 개념과 재활운동 정의

by 만돌이님 2020. 12. 11.
반응형

재활의 개념 재활에 대한 트레이너의 접근방법에 대해 포스팅 하고자 한다.

일상적으로 ​재활 과정은 부상 후에 곧바로 시작된다.

초기의 응급처치와 관리 기법은 재활 과정의 절차 그리고 궁극적인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부상을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확실하게 이해하는 것 외에도 선수 트레이너(AT)는 부상이 일어났을 때 올바르고 적절한 초기 조처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 또한 갖추어야만 있어야만 한다. 

스포츠의학을 제공하는 시설에서 일반적으로 선수트레이너(AT)는 부상당한 선수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의 설계, 실행, 그리고 감독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을 맡는다.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의 설계]는  비교적 단순하며 여러가지 기본적인 단기적 목표를 포함한다.

 통증 조절, 유연성의 유지 또는 향상, 근력의 회복과 증가, 신경근육의 조절 회복, 심폐 체력 수준의 유지. 장기적 목표는 부상당한 선수를 연습 또는 경기에 최대한 빠르고 안전하게 복귀시키는 것이다.

 

설계는 재활프로그램의 관리에 있어 쉬운 부분이다.

어려운 부분은 장기적 및 단기적 목표 두 가지 모두를 가장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언제 그리고 어떻게 재활 방법을 변화 또는 변경시키는가를 정확하게 아는 것이다.

[재활프로그램] 동안의 진전은 특정적인 기준에 근거해야 하며 경기장으로의 복귀는 기능적 수준과 환자의 상태에 근거해야만 한다. 스포츠의학 시설에서의 재활에 대한 근접은 대부분의 다른 재활 시설과는 상당히 다르다.

운동경기의 경쟁적인 특성은 재활에 대한 공격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대부분 스포츠 종목의 경우, 시합시즌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선수가 오랜 기간 동안 휴식을 취한다거나 또는 부상이 나을 때까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지낼 수 있는 여유가 없다.

그러므로 목표는 선수를 최대한 빠르고 안전하게 신체활동을 재개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재활프로그램을 감독하는 AT는 선수가 충분한 노력을 하도록 독려하지 않는 것과 지나치게 공격적인 것 사이에 균형을 맞추어야만 한다.

어느 경우라도 선수트레이너(AT)의 판단 실수는 신체활동으로의 선수 복귀를 방해할 것이다. 

재활프로그램을 어느 때 그리고 어떻게 변경시키고 진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판단은 회복과정의 전체 틀 속에 근거해야만 한다.

선수트레이너(AT)는 회복의 여러 단계에서의 진행 절차와 시간적 흐름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만 하며 이러한 각 단계 동안에 특정한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는 것을 인식해야만 한다.

재활프로그램 동안에 취해진 어떠한 행동이라도 이러한 회복과정을 방해하는 것은 재활에 요구되는 시간의 길이를 연장시킬 것이며 신체 활동으로의 완전한 복귀를 지연시킬 것이다.

회복과정이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만 한다. 기껏해야 선수 트레이너(AT)는 회복과정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노력할 수 있을 뿐이다.

회복과정을 생리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지만 재활 동안에 회복을 방해하는 어리석은 짓들을 많이 할 수는 있다.

선수트레이너(AT)는 재활 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는 많은 방법들을 가지고 있다.

선수 트레이너(AT)가 어떻게 이러한 방법의 사용을 선택하는가는 흔히 각개인의 선호 및 경험과 관련이 있다. 그밖에 도각 환자들은 서로 다르며 다양한 치료 방법에 대한 반응에는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재활에 대해서는 요리책과 같은 접근방식은 불가능하다.

(마치 조리법과 같이 그대로 따라 하는 특정적인 절차)

순서대로 따라하는 재활 차의 사용은 장려되지 않는다. 그 대신, AT는 각 선수를 위한 특정적인 재활 기법을 선택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광범위한 이론적 지식의 기반을 발달시켜야만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