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공급과정
1) ATP-PC 시스템(인원질 시스템)
① ATP를 생산하기 위한 가장 간단하고 빠른 방법(10~15초 정도 지속)
② 운동 초기나 단시간의 격렬한 운동 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신속하게 공급
③ CK는 세포질 내의 ADP 농도가 증가하면 활성화되고 ATP 농도가 증가하면 억제
젖산 시스템(무산소 해당 과정)
① 인원질 시스템 다음으로 산소를 이용하지 않고 ATP를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과정(최대 강도로 운동 시 20~30초가량 에너지 공급)
② 혈액 중의 글루코스가 세포막을 통해 근세포로 유입되어 해당 과정을 거칠 경우 2 ATP 생성
③ 근세포 내에 저장된 글리코겐이 글루코스로 유리되어 해당 과정을 거칠 경우 3 ATP 생성
④ 해당 과정에서 산소공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초성포 도산이 젖산으로 전환되어 체액을 산성화 하여 근피로 유발
⑤ 산소공급이 충분할 경우 대부분의 초성 포도 산은 아세 칠-조효소 A로 분해되어 산화과정으로 들어감
유산소 시스템
①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일어나며 크렙스 회로와 전자 전달계로 구분
② 크렙스 회로는 수소 수송체인 NAD와 FAD를 이용하여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산화 완성
③ 산소는 크렙스 회로의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며, 전자 전달계의 마지막 단계에서 수소를 받아 물을 만드는데 참여(산화적 인산화)
④ 체내 지방질(TG)은 FFA(유리지방산)와 글리세롤로 분해되고 FFA는 베타 산화 과정을 거쳐 아세 칠-조효소 A로 전환되어 크렙스 회로로 들어가며, 글리세롤은 해당 과정으로 들어가 분해됨
운동부하 형태에 따른 에너지 대사 반응
1) 격렬한 운동 시 활동근의 에너지 대사과정을 안정 시 15~25배까지 활성화
2) 안정-최대하 운동 시 반응
① 안정 시에서 최대하 운동으로 전환 시 산소섭취량은 갑자기 증가하여 1~4분 이내 항정 상태(steady state) 도달
② VO2가 즉시 항정 상태에 도달 못하는 이유 : 운동 초기에 무산소 과정에 의존하기 때문
③ 산소 부족량(oxygen deficit) : 운동 초기 산소섭취량이 운동에 필요한 수준까지 증가하지 못한 양
3) 단시간의 격렬한 운동
① 에너지는 대부분 무산소 대사과정으로부터 공급
② 수초 이내 완료되는 운동은 ATP-PC 시스템, 그 이상 지속되는 운동은 시간 경과하면서 젖산 시스템 사용
가장 기초적인 운동생리학 부분입니다.
'운동재활건강처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처방과 피로회복 대해서 (0) | 2020.12.23 |
---|---|
카이오프랙틱이란? (0) | 2020.12.22 |
테이스 엘보 및 골퍼 엘보의 자가 운동치료 방법들 (0) | 2020.12.17 |
혈액도핑이란? (0) | 2020.12.17 |
재활의 개념과 재활운동 정의 (0) | 2020.1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