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 엘보는 팔꿈치 관절에 생기는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로서
테니스, 골프 등 팔을 쓰는 운동이 과도하거나 직업상 팔을 많이 쓰는 경우 발생합니다.
최근에는 평생 테니스 라켓을 한 번도 안 쥐어본 전업주부들도 팔꿈치가 아파서 병원을 방문했을 때
테니스 엘보로 진단되는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팔꿈치의 "상과"는 팔꿈치의 내측과 외측에 튀어나온 뼈를 의미하는데 이 뼈에는 손목과 손가락을 움직이는 많은 힘줄이 붙어 있습니다.
이 부위의 힘줄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상과의 염증과 더불어, 힘줄이 뼈에서 들뜨거나, 힘줄의 내부에 미세한 파열이 발생하여 통증이 생기는데 이것을 테니스 엘보우라고 합니다.
테니스 엘보우는 대부분 팔꿈치 외측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흔하므로 일반적으로 외상과염을 뜻합니다.
반면, 골프를 친후 생기는 통증은 주로 팔꿈치 내측에 생기는 데, 이것은 "골프 엘보우"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테니스 엘보우 예방
테니스를 칠 때 생기는 팔꿈치 통증은 대부분 좋지않은 백 스트로크 자세에서 나옵니다.
즉, 백 스트로크 때에 팔꿈치가 구부러진 자세로 볼을 치면 볼에서 건네지는 근육의 충격량은 팔을 폈을 때 보다
상당히 커서 무리를 주게 되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그립이 너무 크거나, 테니스 라켓줄이 너무 팽팽하면 같은 이유로 테니스 엘보우가 올 수 있습니다.
즉, 백 스트로크 때에 팔꿈치가 구부러진 자세로 볼을 치면, 볼에서 건네지는 근육의 충격량은 팔을 폈을 때 보다
상당히 커서 무리를 주게 되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그립이 너무 크거나, 테니스 라켓줄이 너무 팽팽하면 같은 이유로 테니스 엘보우가 올 수 있습니다.
이유는 팔, 손목의 근육 약화로 인하여 가끔 하는 골프, 볼링, 테니스, 수영 등의 레크리에이션에서도 이 부위의 무리를 주게 되어 결국 테니스 엘보우라는 진단을 듣게 되는 것이다.
대부분 힘줄이 뼈에 완전히 붙어 회복되기 전에 팔을 쓰게 되므로, 테니스 엘보우는 자꾸만 찾아오는 팔꿈치 관절의 반갑지 않은 손님이 되기가 쉽습니다.
테니스 엘보우 자가진단
자신의 통증이 팔꿈치 외측의 튀어나온 뼈 즉 "외상과" 주위에 있을 때 이 부위를 손가락 끝으로힘껏 눌러서 이 부위가 심하게 아프면 일단 자가 진단으로 테니스 엘보우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아픈 쪽 팔꿈치를 완전히 펴고 손목을 다른 손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손목을 뒤로 젖힐 때 팔꿈치 통증이 생기면 거의 테니스 엘보우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테니스 엘보우가 생기면 물건을 들거나, 밀 때, 운반할 때 주로 팔꿈치의 바깥쪽에 통증이 있습니다.
심하게 진행된 경우는 악수, 열쇠를 돌릴 때, 머리를 빗을 때 등등 가벼운 일에서도 통증이 생기게 되며, 팔꿈치뿐만 아니라 팔 아래로 내려와 통증이나 힘이 빠지는 증상이 유발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합니다.
테니스 엘보우는 30-50세 사이에 가장 흔한데, 이런 증상이 있으면 전문의사의 진단과 치료를 통해 더 이상의 진행을 막아야 합니다.
전문의사의 병력 청취, 진찰 그리고 X-선 촬영으로 대부분 간단히 진단됩니다.
그러나 관절염 요골신경 압박증후군 외상 등을 감별 진단하기 위하여
근전도 검사 MRI 등 정밀검사가 필요한 때도 있습니다.
팔꿈치 통증의 원인을 잘 찾아서 초기에 올바른 치료방법을 선택해 미연을 방지 하고자 포스팅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운동재활건강처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라톤 운동시 상해 부상및 재활운동방법 (0) | 2020.11.29 |
---|---|
스포츠재활의 목적및 치료 방법대해서 (0) | 2020.11.16 |
충돌증후군이란 무엇인가? (0) | 2020.11.11 |
아킬레스 건염의 원인과 해결방법 (0) | 2020.11.11 |
운동처방사의 역할이란 (0) | 2020.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