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혈중 콜레스테롤치의 조절
① 담즙, 스테로이드 호르몬, 비타민 D, 세포막 구성
② 혈중 CHOL 15% : 섭취된 음식, 85% : 아세틸 CoA로부터 재합성
③ 지단백(lipoproteins)과 단백질의 복합체에 결합한 상태로 세포와 체액 사이 이동
고밀도 지단백(HDL:high-density lipoprotein)
저밀도 지단백(LDL:low-density lipoprotein)
초저밀도 지단백(VLDL:Very low-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 섭취량 多 - 간의 콜레스테롤 생산 저해
◦포화지방산 : CHOL 생산 촉진, 배출 방해
불포화지방산 : 배출과 이화과정 촉진(특히 오메가-3 계열)
◦LDL ↑ : 흡연, 카페인 섭취, 스트레스 등
◦유산소 운동 : HDL ↑, LDL ↓
◦남자 190, 여자 178이하 CHOL 위험
에너지 소비와 섭취의 조절
◦배고픔(hunger) : 체내 생리적 기전
◦식욕(appetite) : 외부 음식물로부터 자극되는 심리적 기전
◦포만감(satiety) : 음식물의 충분한 섭취, 시상하부의 섭식중추(배고픔), 포만중추(배부름) 자극
반응형
'일상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배를 피우면 당신의 폐는 재털이? 폐를 잡아먹는 담배연기 (0) | 2021.04.15 |
---|---|
인체의 기초대사량 정의란? (0) | 2021.04.15 |
수면이 부족하면 나타는 증상들이란? (0) | 2021.04.14 |
지방의 몸속의 기능역할이란? (0) | 2021.04.14 |
스트레스 관리 및 스트레스해소법 스트레스치료 (0) | 2021.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