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호르몬 테스토스테론치가 낮아지면 내장지방 비만으로 된다.
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건강정보

호르몬 테스토스테론치가 낮아지면 내장지방 비만으로 된다.

by 만돌이님 2021. 2. 8.
반응형

 

체내지방에는 '피하지방과' 내장지방' 두 가지가 있다.

그런데 대사 증후군에서 위험시되는 것은 내장지방이다.

즉 내장지방 비만이 중년남성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는 것이다.

피하지방이라고 하는 것은 문자 그대로 피부 바로 밑에 축적되는 지방을 말하는 것이고

볼록 튀어나온 배를 만져보면 손가락 끝에 쉽게 만져지는 부드러운 지방이다.

 

내장지방이라는 것은 복강내에 있는 간이나 장 등 내장 주변에 붙어 있는 지바응로 이것은 혈관 내에

들어가기 쉽기 떄문에 생활습관병이나 대사증후군의 원인 인자가 되기 떄문에

매우 위험한 존재가 되는 것이다.

 

사진출처 채널A

 

특히 남성에서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떄문에 보통 내장지방 비만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이러한 현상은 축구선수나 레슬링 선수를 보면 쉽게 이해가 간다.

이를 근육에서 소비하기 떄문에 비만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추가하여 남성에게는 백색 지방세포로 피하에 축적된 후에도 테스토스테론이나 아디포넥틴

(지방 연소를 촉진하는 호르몬과 같은 물질)의 작용으로 갈색 지방세포로 변화하는 기능을

체내에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일반사람들은 상상도 못할 정도의 힘으로 서로 몸을 부딪치고 극도로 피로가 쌓이고 금방

쓰러질 것 같아도 테스토스테론의 작용에 의해 음식을 섭취하면 곧 피로가 회복되고 에네지로 변한다.

시름 선수 같은 운동선수가 아닌 젊은 남성들도 운동부족 있더라도 테스토스테론 덕분으로

내장지방 비만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들도 나이가 들면서 은퇴 후에는 아무리 노력을 하여도 혈중 테스토스테론치가 점점 감소되기 떄문에 식사를

포함하여 생활습관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대사 증후군을 불러들이게 된다.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된 중고령 남성에서 혈중 테스토스테론치를 측정하면 중증일수록 그 수치가 낮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와같이 테스토스테론 결핍이 내장지방 비만 그리고 대사증후군의 발병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명백히 밝혀진 사실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