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운동부하검사'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운동부하검사3

운동검사의 상대적 금기사항과 절대적 금기사항 운동검사의 상대적 금기사항 1. 안정 시 확장기 혈압이 115mmHg 이상 또는 수축기 혈압이 200mmHg 이상인 경우 2. 중정도의 심장판막 질환 3. 전해질 이상이 발견된 경우(저칼륨 혈증, 저마그네슘 혈증) 4. 심박동이 고정된 심장박동 조절기 5. 빈번하고 복잡한 이소성 심실 박동 6. 심실 동맥류 7. 조절되지 않는 대사성 질환(당뇨병, 갑상선 중독증, 점액 수종 등) 8. 만성 전염성 질환(단핵세포증, 간염, 후천성 면역 결핍증 등) 9. 운동으로 악화되는 근신경계, 근골격계 또는 류마티스성 질환 10. 임신 후기 또는 임신의 합병증 운동부하검사의 절대적 금기사항 1. 최근 안정 시 심전도상 심근경색 또는 다른 급성 심장발작을 나타낸 경우 2. 최근 심한 심근경색이 발생한 경우 3. 불안정한.. 2021. 5. 3.
운동부하검사측정시 유의점 1.협심증이나 협심증과 같은 증상의 발생 2.수축기 혈압의 현저한 하강(20mmHg) 3.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라 수축기 혈압의 상승이 없을 때 4.과도한 혈압상승(수축기 혈압이 260mmHg이상, 확장기 혈압이 115mmHg이상) 5.혈류 흐름의 감소로 나타나는 징후(현기증, 착란, 운동 실조증, 창백, 청색증, 오심, 차 고 축축한 피부 등) 6.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라 심장박동수의 상승이 없을 때 7.심장리듬의 주목할 만한 변화 8.피검자가 중단을 요구하는 경우 9.심한 피로감에 대한 육체적 또는 언어의 표현 10.검사기구가 고장났을 때(측정시스템의 오류가 발생했을 때) 2021. 3. 18.
건강한 성인의 운동부하검사의 중단기준 운동부하 검사 시 주의 사항 1. 협심증이나 협심증과 같은 증상의 발생 2.수축기 혈압의 현저한 하강(20mmHg) 3.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라 수축기 혈압의 상승이 없을 때 4.과도한 혈압상승(수축기 혈압이 260mmHg 이상, 확장기 혈압이 115mmHg 이상) 5. 혈류 흐름의 감소로 나타나는 징후(현기증, 착란, 운동 실조증, 창백, 청색증, 오심, 차 고 축축한 피부 등) 6. 운동 강도의 증가에 따라 심장박동수의 상승이 없을 때 7. 심장리듬의 주목할 만한 변화 8. 피검자가 중단을 요구하는 경우 9. 심한 피로감에 대한 육체적 또는 언어의 표현 10. 검사기구가 고장 났을 때(측정 시스템의 오류가 발생했을 때) 2020.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