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프로토콜3 운동강도 설정 및 운동프로토콜 운동 강도 설정 방법 (심폐지구력 향상 운동) 및 프로토콜 METs 1 MET=3.5㎖/kg/min 심박수 X축 MET & O2maxO2 max의 관계➜ Y축 %운동심박수(목표 심박수) 결정 목표심박수 = 최대 심박수 × 운동 강도➜O2maxO2 max%와 % HRmax는 직선적인 비례관계 (HRmax에 의한 운동 강도 수준은 % O2 max보다O2max 높은 60~90%의 범위로 설정) Karvonen 공식 목표 심박수 = [(최대 심박수 - 안정 시심 박수) × 여유 심박수(=운동 강도)]+안정 시 심박수 RPE(운동자 각도) RPE 12~16은 50~85% HRR(% O2 max) 수준에 해당➜ 건강한 성인들의 운동처방 범위 근력 및 근지구력 향상 운동의 운동 강도 설정 1RM = Wo + W1 W.. 2021. 1. 7. 신체활동과 운동의 장점들 이번주 주말 신체활동과 운동의 이점 포스팅 ① 체력의 증가와 이로 인한 수명 연장 ② 심폐기능의 향상(VO2의 향상, 최대하 운동 시 환기량․심박수․혈압이 낮아짐) ③ 관상동맥의 위험성 감소(안정 시 혈압 감소, TG감소, HDL상승, 인슐린 요구량 감소, 혈당의 내성 향상) ④ 사망률, 이완율 감소 ⑤ 불안, 우울증 감소 고강도 운동의 위험 ① 산소요구량이 증가하면서 심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MI 2~6배 위험) ② 빈도에 따라 위험률이 다르다(주 4회 이상 운동 시 위험률 감소) - 규칙적인 운동 중요 위험 요인에 따른 분류 ① 저위험군 - 남 45 미만, 여 55 미만 문제가 없고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이 1개 이하 ② 중등도위험군 - 남 45 이상, 여 55 이상 2가지 이상 위험요인이 있는 .. 2020. 12. 19. 운동의 필요성과 신체활동과 운동의 장점 고강도 운동시 주의점 신체활동과 운동의 이점 ① 체력의 증가와 이로 인한 수명 연장 ② 심폐기능의 향상(VO2의 향상, 최대하 운동 시 환기량․심박수․혈압이 낮아짐) ③ 관상동맥의 위험성 감소(안정 시 혈압 감소, TG감소, HDL상승, 인슐린 요구량 감소, 혈당의 내성 향상) ④ 사망률, 이완율 감소 ⑤ 불안, 우울증 감소 고강도 운동의 위험 ① 산소요구량이 증가하면서 심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MI 2~6배 위험) ② 빈도에 따라 위험률이 다르다(주 4회 이상 운동 시 위험률 감소) 규칙적인 운동 중요 위험 요인에 따른 분류 ① 저위험군 - 남 45 미만, 여 55 미만 문제가 없고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이 1개 이하 ② 중등도위험군 - 남 45 이상, 여 55 이상 2가지 이상 위험요인이 있는 사람 ③ 고위험군 - 1.. 2020. 11.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