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곤란
호흡하는 것을 평상시와는 다르게 불편하게 느끼는 것 대체로 호흡량이 작고 호흡횟수가 빠르다.
기관지 천식이나 심장병과 같은 질병에서 만성적으로 오는 경우가 많으나 기도내 이물질이나 후두부종과
같은 급성호흡곤란으로 응급조치를 요하는 경우도 있다. 불안신경증이나 과로, 스트레스에 의한 교감신경 기능의 항진
으로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원인
1) 폐질환에 의한 호흡곤란만성 폐쇄성 폐질환 (기관지천식,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공업화 및 대기오염의 증가에 따라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
흡연과 밀접한 관계(55∼64세 남자흡연자의 10∼15%에서 발생)
폐침윤성 폐질환 : 결핵이나 세균에 의한 감염, 분진에 의한 직업성 폐질환, 종양, 폐혈관색전증등과
같이 폐실질이나 폐혈관의 질병에 의하여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경우
2) 심장질환에 의한 호흡곤란
폐정맥압의 상승에 의하여 호흡곤란이 유발
운동시의 호흡곤란, 기좌호흡, 발작성 야간호흡곤란, 급성폐수종등의 형태를 취한다
심장질환의 원인 : 심부전, 선천성 심장질환, 판막성 및 고혈압성 심장질환 등
3) 비만, 신경증 등에 의한 호흡곤란
청진소견, 흉부 X-선촬영, 폐기능검사등에서 모두 소견을 나타냄.
관리
1) 급성호흡곤란의 경우 :
기도의 유지(입 안이나 호흡기도내의 이물질 제거, 턱을 옆으로 돌려준다)
환기 상태의 개선
인공호흡 등의 응급조치
2) 일반적인 기관지의 보호 및 위생
먼지나 유해물질이 많은 환경을 피하고 금연
적당한 수분공급으로 탈수를 피하고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고 비만에 대한 체중조절에 유의
특정한 항원이나 약물 등에 과민반응이 있는 경우 원인물질을 알아내어 피하도록
상기도감염 등을 적절히 치료하고 기관지확장제 등을 사용
심장질환에 의한 경우 과도한 운동을 피하여 심부전의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
고혈압의 경우 소금 섭취 제한 등에 유의 의뢰를 요하는 경우
1) 응급 조치로 조절이 안되는 급성호흡곤란인 경우
2) 건강하던 사람이 갑자기 호흡곤란을 느껴 원인 질환의 규명이 필요할 때,
3) 각혈이나 부종, 체중감소등의 다른 신체증상이 동반될 때
4) 알레르기성 혹은 직업성인 천식 또는 폐질환이 의심되나 원인 규명이 어려울때
5) 알고 있는 기존 질환에 의한 호흡곤란이 심해져 일상활동에 지장을 줄 때
'일상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기의 효능이란? (0) | 2021.02.10 |
---|---|
내분비계이란? (0) | 2021.02.10 |
무기질의 축척은 각종 질병의 원인 (0) | 2021.02.09 |
포화지방 및 트랜스지방 많은 음식과 지방의 대해서 (0) | 2021.02.09 |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기관지천식이 발생할 수 있다 (0) | 2021.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