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원인4 한국형 당뇨병이란? Diabetes Mellitus Diabetes Mellitus (D.M 당뇨) (원인) Pancrease에서 분비되는 hormone 인 Insulin의 분비감소 or 기능저하로 인해 혈중농도는 높은데 세포에서 전달이 안될때 발생한다. Symptom(sx) 1)다식 Polyphagia 2)다음 Polydipsia 3)다뇨 Polyuria Diagnosis (Dx 진단) 1)3多 3p 2)Blood suger(glucose) 피 뽑기 1>공복시:126mg/dl(126mg%)이상 일시 2>식후2시간:200mg/dl(200mg%)이상 일시 ----->당뇨 Risk Factor 1)가족력 (Family History) 2)운동부족 (Hypokinetics) 3)Obesity(Abdominal obesity) 4)Sterss 5)과음 과식 6).. 2021. 2. 7.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식사관리방법 당뇨병 가. 당뇨병의 정의와 종류 당뇨병은 혈당치의 상승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당대사 질환 혈당치에 의한 당뇨병 진단기준 구 분 공복 시 혈당치(mg/dl) 식후 2시간 혈당치(mg/dl) 정상 80~120 140 이하 당뇨병 의심 120~140 140~200 당뇨병 140 이상 200 이상 인슐린의존성 당뇨병(IDDM): 인슐린 결핍, 췌장 베타세포의 파괴가 원인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NIDDM): 인슐린 감수성 저하(인슐린 저항성 증가), 췌장의 인슐린 생산 부담이 증가되어 인슐린 분비기능 약화 임신성 당뇨병(GDH) 당뇨병 식사관리 ①적절한 영양소와 알맞은 열량 섭취 ②정상 혈당치와 혈중 지질 수준 유지 ③인슐린 의존형 당뇨환자: 적절한 식사시간과 식사량 조절, 급격한 혈당치 상승 억제 ④비인슐.. 2021. 1. 30. 당뇨병 환자의 운동관리 방법 당뇨병 환자의 운동요법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서 운동요법은 약물요법이나 식사요법보다 효과가 크며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운동은 당뇨병을 극복하는 데에 기본이 된다. 그러면 당뇨병 환자는 어떻게 운동을 해야 혈당 관리에 더욱 유익한가? 일반적으로 근력 운동보다는 유산소 운동이 바람직하다. 근력 운동이라 함은 역기 들기 등 근육의 발달에 큰 영향을 주는 운동이며 유산소 운동은 체내에 산소의 공급량을 늘려 주는 운동으로서 빨리 걷기 줄넘기 등 과격하지 않으면서 땀을 흘릴 수 있는 운동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근력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2 : 8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량은 보통 자신의 폐활량의 60-70%(분당 맥박수 110-130회 정도)가 적당하며, 식후 30분에서 1시간 후 30-40분, 주 5회 이.. 2021. 1. 22. 당뇨병환자의 운동방법 프로그램 운동 시 주의사항 운동 중 정신이 멍해지거나 시야가 흐려지고, 식은땀이 나고, 손이 떨리고, 몸에 힘이 쭉 빠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저혈당의 증상이라는 것을 알고 운동을 즉시 중단하고 휴식을 취하면서 사탕이나 주스 등을 섭취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운동에 참여할 때는 약간의 당분을 준비해야 합니다. 운동중 고려해야 될 사항 적절한 신발을 선택하여야 하며 발 관리에 특히 주의를 기울어야 합니다. 즉, 운동화는 충격을 잘 흡수하는 쿠션 있는 조깅 화가 좋으며 발에 꼭 끼지 않는 넉넉한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드럽고 땀흡수가 잘되는 면양말을 준비합니다. 항상 발을 청결히 하고, 운동 전후에 발에 상처나 물집이 있는지 잘 살피고 운동후에는 반드시 발을 깨끗하게 씻도록 합니다. 운동 전이나 운동 .. 2021. 1.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