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운동생리학'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운동생리학2

전공자들을 위한 운동생리학 기초 에너지 공급과정 1) ATP-PC 시스템(인원질 시스템) ① ATP를 생산하기 위한 가장 간단하고 빠른 방법(10~15초 정도 지속) ② 운동 초기나 단시간의 격렬한 운동 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신속하게 공급 ③ CK는 세포질 내의 ADP 농도가 증가하면 활성화되고 ATP 농도가 증가하면 억제 젖산 시스템(무산소 해당 과정) ① 인원질 시스템 다음으로 산소를 이용하지 않고 ATP를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과정(최대 강도로 운동 시 20~30초가량 에너지 공급) ② 혈액 중의 글루코스가 세포막을 통해 근세포로 유입되어 해당 과정을 거칠 경우 2 ATP 생성 ③ 근세포 내에 저장된 글리코겐이 글루코스로 유리되어 해당 과정을 거칠 경우 3 ATP 생성 ④ 해당 과정에서 산소공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초성포 도.. 2020. 12. 21.
스포츠 운동 생리학과 운동처방사 알아야 할 운동생리학이론 운동생리학 1. 에너지 공급과정 1) ATP-PC 시스템(인원질 시스템) 2) 젖산 시스템(무산소 해당 과정) 3) 유산소 시스템 에너지 전환 과정 율속 효소 자극인자 억제인자 ATP-PC 시스템 크레아틴 카이네이즈(CK) ADP ATP 해당 과정 PFK AMP, ADP, Pi, pH↑ ATP, PC, 구연산, pH↓ 크렙스 회로 이소 구연산 탈수소 효소 ADP, Ca++, NAD ATP, NADH 전자 전달계 시토크롬 옥시다제 ADP, Pi ATP 운동부하 형태에 따른 에너지 대사 반응 1) 안정-최대하 운동 시 반응 2) 단시간의 격렬한 운동 3) 장시간 운동 4) 점증 부하 운동: 잠재적인 심장병의 진단이나 최대 산소섭취량을 측정하기 위해 자주 이용 *젖산 역치의 기전: 운동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 2020.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