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관상동맥질환과 심부전 질환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건강운동자료

관상동맥질환과 심부전 질환

by 만돌이님 2021. 4. 20.
반응형

협심증: 혈전이 관상동맥을 막은 상태

심근경색: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인하여 심장근육이 괴사하는 질환

심부전: 심장이 혈류를 적절히 순환시키지 못하는 질환

 

 

심부전

심근에서  발하는 질환

허혈성 심장병

심근염(Myocarditis)

심근증(cardiomyopathies)

심근 부전을 2차적으로 일으키는 다른 심장병

•조절 기전의 손상(비효율적 펌프작용)

•혈액 배분의 결손

전신성 고혈압

만성 폐 질환

 

심박동 수 증가: 수축기에 완전한 혈액 방출을 할 수 있는 시간 부족

확장: 이완 기말 심실 용적은 심근 수축력을 크게 한다.

비대: 심근의 용적이 증가하면 작업 수행능력이 커진다.

 

우심실 비대

만성 폐 질환에 의한 폐동맥 고혈압 시

폐동맥 고혈압을 일으키는 승모판 질환 시

좌심실 비대

고혈압 시

대동맥판막 협착증 시

 

 

심부전의 영향

저산소증

급성 좌심실부전시

뇌 기능장애가 발생하여 일시적 의식상실 초래

정맥울혈

동맥의 혈액 유입 감소

시장의 혈액 공급 감소

사구체 여과 감소

• Sodium과 수분의 체류

•정맥 내 혈액량 증가

호흡곤란

 

울혈성 심부전의 보상적 생리적 반응

 

교감신경 활성 증가

안 수용체의 혈압저하 감지 심장의 b-아드레날닌 수용체 자극 심박수 증가, 심근수 축력 증가 혈관수축으로 정맥환류

향상 심장의 전부 한 증가

 

체액 저류

심박출량 감소 신장의 혈류량 감소 레닌 분비 자극 앤지오텐신 II와 알도스테론 합성증 말초 저항 증가, 나트륨과

수분의 저류 야기 혈액량 증가 심장 회귀 혈액 증가

심근비대

심장의 크기 증가, 심방 확장

심근의 신장은 심장의 더욱 강한 수축 야기

그러나 섬유의 과도한 신장은 더 약한 수축 야기

 

급성과 만성 심부전

급성

만성

시간적 요소

즉각적, 수시간-수일

수주, 수개월

원인 질환

-경색 또는 부정맥을 동반한

급성 관동 동맥 폐색

-폐색전증

-심한 악성 고혈압

-급성 중독성 심근염

-만성 고혈압

-심근 섬유화

-만성 판막 질환

-만성 폐 질환

-만성 심한 빈혈

효과

-보상기전이 발동할 여유

시간 부족

-급성 폐부종이 흔히 나타남

-뇌와 신장의 급성 허혈성

변화

-대상 기전이 충분히 작동

-비대와 확장

-만성 부종과 만성 정맥울혈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