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 단거리 선수나 역도선수를 위한 과학적인 식사법에서는 탄수화물 60%, 단백질 20%, 지방 20%가
이상적인 에너지 섭취비율이다.
지방은 무산소 운동의 에너지원이 아니므로 지방의 에너지 비율이 25%를 넘지 않도록 한다.
무산소 운동이 유산소 운동보다 강도가 높기 때문에 근 조직의 손상 또한 심하여 충분한 단백질 섭취가 요구된다.
강도 높은 훈련을 수행해야 하는 운동선수는 단백질은 물론 탄수화물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1. 무산소 운동을 정기적으로 실시
강도 높은 훈련은 근육과 간 글리코겐의 증가를 자극하는데, 이로써 운동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 받을 수 있다.
2. 하루 4~6식
하루 식사량을 4~6회로 나누어 섭취함으로써 혈당을 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탄수화물을 섭취하도록 주의하며,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한다.
근육이 단백질을 필요로 할 때 언제든지 단백질을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훈련 1시간 전에 섭취하는 식사도 글리코겐 저장에 도움이 되므로, 역시 복합 탄수화물을 섭취하도록 한다.
3. 지방의 과다 섭취에 유의
지방을 과다 섭취하게 되면, 반드시 체지방이 증가한다. 체지방이 증가하면 체력이 저하되어 최상의 기량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4. 운동 시작 1~2시간 전에 글리세믹 지수가 낮은 식품을 섭취
혈당량이 유지되어 강력한 근 수축에 필요한 에너지를 바로 공급할 수 있다.
5. 적당량의 수분 공급
근육 글리코겐은 1g당 3g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땀 분비량만큼 수분을 공급하지 않으면 근 수축이 약화된다.
'생활운동건강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아리 근육마사지와 종아리 근육의 중요성 (0) | 2021.01.12 |
---|---|
수면 자세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0) | 2021.01.12 |
뇌의 노화로 인한 뇌의증상 (0) | 2021.01.06 |
임산부 운동시 주의사항 및 월경통 대해서 (0) | 2021.01.04 |
이제마 사상의학 (0) | 2021.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