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스포츠 의학의 필요성
본문 바로가기
생활운동건강자료

스포츠 의학의 필요성

by 만돌이님 2021. 2. 10.
반응형

스포츠 의학(Sports Medicine)

 

1. 스포츠 의학의 필요성

스포츠는 선수들의 격렬한 몸동작과 현란한 기술을 요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따르게 되는 것이 부상이다.

부상 후에 선수들은 적절한 치료를 받고 다시 경기에 복귀하여야 한다.

이렇게 부상 후에서부터 경기에 복귀할 때까지의 과정이 과학적이고 합리적이고 가장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문이 바로 스포츠 의학이다.

국내의 상황을 살펴보면, 현재 선수들의 급성 상해에 대한 치료는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다시 경기장에

출전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재활치료는 전문적으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선수들의 기량 회복이 늦어지고, 부상의 재발이 잦아지게 되고, 선수들은 자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점점 위축된

경기를 보여줄 수밖에 없다.

선수, 코치, 감독들 뿐 만 아니라 치료를 하는 의료진들조차 적절한 재활치료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스포츠 손상과 재활치료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임상경험을 널리 알리고 의료진을 교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 스포츠 의학의 목표 

스포츠 재활에서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는, 종목별로 상이한 스포츠의 형태와 기술의 차이, 그리고

경기장에서의 경쟁심, 심리적 요인 등이 포함되며, 스포츠 손상 후 재활의 목표는 최대한 단 시간에 손상 전의

운동기능을 회복하고, 손상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여 일상생활이나 경기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스포츠 활동으로 손상을 입은 선수가 완전하게 회복될지, 혹은 불충분하게 회복될지는 재활치료가 얼마만큼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느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완벽한 재활을 위해서는 부상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고 적절한 휴식 및 안정이 필요하며 관절, 근육, 힘줄(건) 등의

유연성, 신전성이 완전히 확보되어야 하며, 근력, 지구력, 신경조절능력, 기능적 훈련이 필요하다.

스포츠 손상은 주로 신경, 근육, 골격계, 피부 등에 나타나는데, 보통 신경, 근육, 그리고 골격계가 손상되었을 때는

여러 가지 합병증이나 후유증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관절내 연골이 손상되었을 경우, 먼저 염증과 붓기, 그리고 통증이 발생하고 나중에 합병증이나 후유증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근수축력의 부조화, 근지구력 약화, 심폐지구력 저하 등이 발생하게 된다.

손상 후 염증, 통증 그리고 붓기는 수일 내로 가라앉지만, 조직이 치유되어도 후유증 등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통증과 부종이 소실되었다고 하더라도 휴식을 취하는 동안 근수 축력이 약해지고 관절이 굳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근수축력이 약해진 경우에는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관절을 보호할 수도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합병증이나 후유증 등을 주의 깊게 관리해야 한다.

이러한 관리과정을 단계적으로 실행시켜 나가는 것이 재활이다.

 

3. 스포츠 재활시 유의사항

스포츠 손상 후 재활의 목표는 가능한 한 빨리 그리고 안전하게 현장으로 복귀하는 것이지만, 손상이 치유될 때까지

쉴 수만 없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치료하되 속도와 강약, 균형을 잘 맞추어야 한다.

이것을 위해서는 네 가지 기본사항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첫째, 언제 어떻게 재활 프로그램을 진행시킬지의 결정은 주로 손상의 치유 과정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치유의 시간적인 순서와 치유의 각 단계마다 일어나는 생리적 형상을 이해하여 관절 및 근육의 생체역학과 기능

해부학 그리고 손상의 병리기전을 알고 재활 프로그램을 계획해야 한다.

 

둘째, 손상 후 선수에 따라 다양한 심리반응을 보일 수 있어 전문적인 스포츠 심리치료를 적용한다.

손상선수의 심리적인 평가와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는 재활 과정 중 가장 중요한 항목 중의 하나이다.

셋째, 각 개인에 특화된 재활치료를 위해 다양한 이론적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손상에 맞는 재활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넷째, 재활운동을 최대한으로 하되 손상재발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치료 운동과 조절 운동을 통한 재활 프로그램을

계획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