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만성질환건강운동자료'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건강운동자료15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이란?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동맥혈관의 벽이 경화되어 탄력성을 잃고 섬유화 되고 딱딱하게 변하는 질환들을 의미한다. ​동맥경화증에는 죽상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 ; 혈관내막의 증식과 지질의 침착이 특징) 소동맥 (arteriosclersis ; 소동맥과 소동맥 벽의 증식 또는 유리질 모양 변화가 특징) 중 막 석회화 경화증 ​(medial calcific sclerosis ; 근육형 동매 주막의 석회화가 특징)이 있다. ​1) 동맥경화증 위험인자 ​① 고혈압 ​고혈압은 동맥내피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어 동맥경화를 일으키며 허혈성심질환의 위험도 고혈압 환자가 일반인에 비하여 5배 높다. 45세 이후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장기 고혈압이 더 중요한 인자이다. ​​② 고지혈.. 2021. 2. 3.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식사관리방법 당뇨병 가. 당뇨병의 정의와 종류 당뇨병은 혈당치의 상승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당대사 질환 혈당치에 의한 당뇨병 진단기준 구 분 공복 시 혈당치(mg/dl) 식후 2시간 혈당치(mg/dl) 정상 80~120 140 이하 당뇨병 의심 120~140 140~200 당뇨병 140 이상 200 이상 인슐린의존성 당뇨병(IDDM): 인슐린 결핍, 췌장 베타세포의 파괴가 원인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NIDDM): 인슐린 감수성 저하(인슐린 저항성 증가), 췌장의 인슐린 생산 부담이 증가되어 인슐린 분비기능 약화 임신성 당뇨병(GDH) ​당뇨병 식사관리 ①적절한 영양소와 알맞은 열량 섭취 ②정상 혈당치와 혈중 지질 수준 유지 ③인슐린 의존형 당뇨환자: 적절한 식사시간과 식사량 조절, 급격한 혈당치 상승 억제 ④비인슐.. 2021. 1. 30.
호흡기의 구조와 기능의 대해서 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1. 구조 구성 상부기도 : 비강, 부비동, 인두, 후두개, 후두로 구성되고 내면은 점액 생성 세포와 섬모 (cilia)로 덮여 있다. 하부기도 : 기관, 좌우기관지, 분절 기관지, 말단 세기관지와 폐포로 구성되어 있다. 2) 위치 폐 : 심장의 양측 흉곽에 위치하며 쇄골, 늑골, 척추, 횡격막에 둘러싸여 있다. 기관 : 후두에서 다섯째 흉추까지 위치해 있다. 3) 구조 기관지 : 두 개의 굵은 가지가 좌우의 폐로 들어가는데, 우측 기관지는 좌측 기관지에 비해 굵고 짧으며 수직 모양이어서 이물이 기관지로 들어가기 쉽다. 우측 폐는 3엽, 좌측 폐는 2 엽으로 되어 있다. 폐는 장측늑막과 벽 측 늑막에 둘러싸여 있으며 이 사이의 늑간에는 소량의 늑막액이 있어 마찰을 피하게 하는 윤활유.. 2021. 1. 30.
신장의 기능이란? 신장의 기능: 심장에서 보내는 전체 혈액의 25% 정도가 신장으로 들어가 분당 120cc 정도의 혈액이 사구체에서 여과된다. 대사산물의 독소를 배설한다. 정상체액량을 유지한다. 체액의 이온조성과 침투압을 일정하게 한다. 혈액의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부신피질 호르몬(renin)의 분비로 혈압을 조절한다. 적혈구 생성인자(erythropoietin)를 분비한다. 사구체의 여과 일반 모세혈관보다 25배 정도 투과성이 높고 사구체 혈압도 높으며 단위 여과 면적당의 여과량은 많다. 혈청 알부민, 헤모글로빈은 약간 여과되며 그 이상의 큰 단백질은 여과되지 못한다. 사구체에서 여과되는 혈장량의 99% 이상은 세뇨관 및 집합관에서 혈액 속으로 재흡수되어 소변으로 배설되는 것은 하루 약 1.5리터 정도로 전체의 1.. 2021.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