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재활건강처방자료43 운동검사의 상대적 금기사항과 절대적 금기사항 운동검사의 상대적 금기사항 1. 안정 시 확장기 혈압이 115mmHg 이상 또는 수축기 혈압이 200mmHg 이상인 경우 2. 중정도의 심장판막 질환 3. 전해질 이상이 발견된 경우(저칼륨 혈증, 저마그네슘 혈증) 4. 심박동이 고정된 심장박동 조절기 5. 빈번하고 복잡한 이소성 심실 박동 6. 심실 동맥류 7. 조절되지 않는 대사성 질환(당뇨병, 갑상선 중독증, 점액 수종 등) 8. 만성 전염성 질환(단핵세포증, 간염, 후천성 면역 결핍증 등) 9. 운동으로 악화되는 근신경계, 근골격계 또는 류마티스성 질환 10. 임신 후기 또는 임신의 합병증 운동부하검사의 절대적 금기사항 1. 최근 안정 시 심전도상 심근경색 또는 다른 급성 심장발작을 나타낸 경우 2. 최근 심한 심근경색이 발생한 경우 3. 불안정한.. 2021. 5. 3.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는 가압 트레이닝 새로운 트레이닝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가압 트레이닝이다. 팔과 발을 붙이고 전용 벨트로 묶어 가압 ( 자신의 최고 혈압보다 20~30mmHg 높아짐)을 하여 혈류량이 적절히 제한된 상태에서 트레이닝을 하는 방법으로 올림픽 출전 선수들도 이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벨트를 채워 혈액이 충만된 상태에서 트레이닝을 하면 상하 지네의 유산 농도가 올라가고 트레이닝 후 벨트를 풀면 고농의 유산이 혈류에 유입되어 뇌하수체를 자극하면 성장호르몬이나 테스토스테론이 증가되는 기전이 작동하게 된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트레이닝센터에서 맞춤식으로 교육되고 있지만 집에서도 가능한 가압 트레이닝 전용 벨트나 옷이 판매되어 활용되기도 한다. 2021. 4. 19. 허리 손상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운동시 주의점과 팔꿈치손상 허리 손상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운동 시 주의점 허리 예방 및 개선에는 일상생활에 있어서 선 자세와 물건을 들어 올리는 방법, 걸을 때, 앉을 때, 수면을 취할 때 자세 등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수험생들의 경우는, 운동 후 휴식시 바른 자세가 아닌 허리가 휘는 비스듬한 자세로 오랫동안 있으면 허리의 통증이 발생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많은 운동량 소화로 신체가 피로해지면 움직임이 둔해지고 이로 인해 일정한 자세로 오랫동안 숙면을 취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면을 취할 때와 운동 후 휴식을 취할 때에는 아래 그림에 제시한 방법으로 자세를 취하는 것이 허리 손상 예방에 지름길이다. 팔꿈치 손상 팔꿈치 관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근육은 스포츠 활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팔의 .. 2021. 3. 18. 운동부하검사측정시 유의점 1.협심증이나 협심증과 같은 증상의 발생 2.수축기 혈압의 현저한 하강(20mmHg) 3.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라 수축기 혈압의 상승이 없을 때 4.과도한 혈압상승(수축기 혈압이 260mmHg이상, 확장기 혈압이 115mmHg이상) 5.혈류 흐름의 감소로 나타나는 징후(현기증, 착란, 운동 실조증, 창백, 청색증, 오심, 차 고 축축한 피부 등) 6.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라 심장박동수의 상승이 없을 때 7.심장리듬의 주목할 만한 변화 8.피검자가 중단을 요구하는 경우 9.심한 피로감에 대한 육체적 또는 언어의 표현 10.검사기구가 고장났을 때(측정시스템의 오류가 발생했을 때) 2021. 3. 18. 이전 1 2 3 4 5 ··· 11 다음